서론
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어려운 건 말이다.
“하지 마!”, “그렇게 말하면 안 돼”, “엄마 말 좀 들어봐”라는 말이
입에서 자동으로 튀어나오지만, 아이의 반응은 갈수록 냉담해진다.
비폭력 대화(NVC)는 단순한 말투 교정법이 아니라,
부모가 아이와 진짜 연결되는 대화 방식을 가르쳐준다.
특히 NVC의 4단계(관찰 → 감정 → 욕구 → 요청)를 이해하면,
감정 폭발 대신 이해와 공감의 말로 바꿀 수 있게 된다.
이 글에서는 각 단계의 개념과 실전 적용 예시를 통해
육아 대화의 구조를 재설계하는 실전 매뉴얼을 소개한다.
1. NVC 핵심 4단계 구조 간단 정리
단계 | 설명 | 예시 표현 |
① 관찰 | 평가 없이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말함 | “오늘 네가 블록을 동생에게 던졌을 때…” |
② 감정 | 내가 느낀 감정을 표현함 | “나는 좀 놀랐고, 속상했어” |
③ 욕구 | 그 감정 뒤에 있는 내 욕구를 설명 | “나는 서로 안전하게 지냈으면 해” |
④ 요청 |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행동 제안 | “지금 동생에게 다시 말로 설명해줄래?” |
✔ 핵심은 ‘지적’이 아닌 ‘공유’
✔ 정답을 요구하지 않고 ‘연결’을 시도하는 말하기 방식
2. 각 단계별 적용법 + 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 비교
① 관찰: “있는 그대로를 본다”
잘못된 말 | 올바른 관찰 |
“너 또 일부러 그런 거지?” | “네가 블록을 던졌더라” |
“너 왜 이렇게 버릇없니?” | “네가 말을 안 듣는 것처럼 보였어” |
✔ 감정을 넣지 말고, 있는 사실만 말해야
✔ “항상, 맨날, 자꾸” 같은 단어 지양
② 감정: “내 마음을 말한다”
잘못된 말 | 올바른 감정 표현 |
“엄마는 짜증나” (비난 조짐) | “나는 속상했어” |
“화 안 나게 해” | “나는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웠어” |
✔ 감정은 “나는 ~했다”로 시작
✔ 감정 단어는 비난이 아닌 느낌 중심으로
③ 욕구: “내가 바라는 걸 말한다”
잘못된 말 | 올바른 욕구 표현 |
“이제 그만 좀 해!” | “나는 지금 조용히 쉬고 싶어” |
“네가 왜 그렇게 행동하니?” | “나는 질서와 평온을 원해” |
✔ 욕구는 요구가 아니라 내면의 바람
✔ "내가 원하는 건 무엇인가?"를 묻는 질문
④ 요청: “갈등 없는 제안”
잘못된 말 | 올바른 요청 |
“당장 사과해!” | “지금 네가 어떻게 느끼는지 말해줄래?” |
“이렇게 해라” | “다음엔 어떻게 말하면 좋을까?” |
✔ 요청은 선택 가능성을 담아야 함
✔ 강요가 아니라 함께 하고 싶다는 제안
3. 실전 예시 – 형제 싸움 상황에서의 4단계 적용
📌 상황
첫째가 동생을 밀쳤다. 동생은 울고 있고, 첫째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.
📌 일반 반응
“너 왜 또 밀었어? 그만 좀 해!”
→ 아이는 위축되거나 반발한다.
📌 NVC 적용 대화
1️⃣ 관찰: “네가 아까 동생을 밀었을 때…”
2️⃣ 감정: “나는 놀라고 걱정이 됐어”
3️⃣ 욕구: “나는 너희가 서로 다치지 않고 지냈으면 해”
4️⃣ 요청: “지금 어떤 마음이었는지 나한테 말해줄 수 있을까?”
→ 아이는 스스로 감정을 돌아보게 되고,
자신의 욕구를 말할 기회를 얻는다.
4. 부모가 4단계를 익히기 위해 할 수 있는 훈련법 3가지
1. 감정 언어 목록을 붙여놓고 자주 말해보기
✔ 냉장고나 책상 앞에 ‘감정 단어 리스트’ 붙여두기
✔ 하루 1번 “나는 오늘 어떤 감정이었지?” 돌아보기
2. 훈육 전 ‘비판 아닌 관찰’을 먼저 말로 훈련
✔ “그 장난감 던진 거 봤어” → O
✔ “또 시작이네!” → X
3. 요청할 때는 “~해줄래?” 문장으로 끝내기
✔ “지금 말로 설명해줄래?”, “도와줄 수 있을까?”
마무리 – 말의 구조가 바뀌면, 관계의 질이 달라진다
NVC의 4단계는 부모가 감정을 억누르라는 말이 아니다.
오히려 감정을 비난 없이 표현하고,
그 감정을 통해 서로를 연결하는 말의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.
하루 1번이라도
“나는 지금 이런 기분이야. 그래서 이런 게 필요해”라고 말해보자.
그 말이 쌓이면 아이는 점점 부모를 지시하는 사람이 아닌, 이해하려는 사람으로 인식하게 된다.
아이의 말은 부모의 말에서 자란다.
말의 구조가 바뀌는 순간,
아이와의 관계는 단단하고 평화로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.
요약
- ① 관찰: 사실만 말하기
- ② 감정: 내 감정 솔직하게 표현하기
- ③ 욕구: 내가 원하는 걸 공유하기
- ④ 요청: 강요 아닌 선택 가능한 제안
→ 기술이 아니라 연결을 위한 대화 구조 만들기
'비폭력 대화(NVC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5편. 비폭력 대화(NVC) - 아이와 평화롭게 살기 위해 필요한 건 대화의 기술이 아니라 관계의 태도다 (0) | 2025.07.03 |
---|---|
14편. 비폭력 대화(NVC) - 부부 간 NVC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7.03 |
13편. 비폭력 대화(NVC) - NVC는 훈육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다 (규칙과 공감의 균형 찾기) (0) | 2025.07.02 |
12편. 비폭력 대화(NVC) - 비폭력 대화를 아이가 따라 하기 시작한 순간들 (0) | 2025.07.02 |
11편. 비폭력 대화(NVC) -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 때, 신뢰를 깨지 않고 말하는 법 (1) | 2025.07.02 |